Ajou University repository

정서원형모형을 적용한 직무요구-자원모형의 확장: 직무요구가 일 관련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향상우세초점과 상사-구성원 교환관계의 역할
Citations

SCOPUS

0

Citation Export

Publication Year
2020-11
Journal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Publisher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Citation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33 No.4, pp.501-543
Keyword
circumplex model of affectwork-related subjective well-being modeldemandchallenge stressorHindrance stressorRegulatory FocusLMX정서원형모형주관적 안녕감모형직무요구조절초점LMX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Russell(1980)의 정서원형모형을 기반으로 도전적 요구와 방해적 요구가 일 관련 주관적 안녕감모형에 끼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는 것이며, 이를 조절하는 향상우세초점 및 상사-구성원 교환관계(LMX)의 역할을 검증하는 것이다. 국내 직장인 36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도전적 요구는 일 관련 주관적 안녕감모형의 긍정요인인 직무열의와 직무만족에 정적 영향력을 끼쳤으며, 방해적 요구는 부적 영향력을 끼쳤다. 이러한 영향력을 비교했을 때 도전적 요구가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력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보다 컸으며, 두 직무요구 모두 일 관련 주관적 안녕감모형의 부정요인인 일중독과 직무탈진에 정적 영향력을 끼쳤다. 이때 도전적 요구는 일중독에, 방해적 요구는 직무탈진에 미치는 효과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구성원의 동기 요인인 향상우세초점은 도전적 요구가 직무열의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모두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또한, LMX는 방해적 요구가 일중독에 미치는 영향력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였으나, 방해적 요구가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에서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 및 실무적 시사점,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ISSN
1229-0696
Language
Kor
URI
https://aurora.ajou.ac.kr/handle/2018.oak/35291
DOI
https://doi.org/10.24230/kjiop.v33i4.501-543
Type
Article
Show full item recor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Shin, KangHyun  Image
Shin, KangHyun 신강현
Department of Psychology
Read More

Total Views & Downloads

File Download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