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보호구역 가변속도제한 적용 및 운영에 관한 연구

Alternative Title
Study on the Application and Operation of the Variable Speed Limits in School Zones
Author(s)
윤진수
Alternative Author(s)
YOONJINSOO
Advisor
윤일수
Department
일반대학원 건설교통공학과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Publication Year
2023-08
Language
kor
Keyword
가변속도제한어린이보호구역어린이보호구역 가변속도제한 운영방안어린이보호구역 대상 범위 선정어린이보호구역 보행사고 분석
Abstract
속도관리는 교통안전의 중요한 정책이며 도로 특성 등 교통환경과 여건을 고려하여 운전자와 보행자의 수요에 부합하도록 정교하게 운영되어야 한다. <br>어린이보호구역의 경우 시간대에 관계없이 제한속도를 30km/h 이하로 설정, 운영함으로써 차량 이동 불편에 대한 불만이 증폭되고 있으며, 어린이 교통사고가 어린이 보호구역 이외의 지역에서 약 90% 전후로 발생하여 어린이 보호구역 확대와 제한속도의 보다 엄격한 적용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br>본 연구에서는 어린이보호구역으로 지정되지 않았지만 여전히 어린이 안전 조치가 필요한 지역에서 가변속도제한 준거 및 운영방안을 제시하여, 어린이보호구역 운영 효율성과 교통안전 문제를 해결하는 정책적 대안으로 어린이보호구역 가변속도제한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어린이 보호구역 지정 현황, 가변속도제한 정책 및 관련 연구를 살펴보고 전문가를 비롯한 교통주체별 설문조사와 초등학교 주출입문 주변 통학로의 어린이 보행교통사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br>초등학교 주변에서 발생한 사고에 대해 초등학교 주출입문에서 사고발생지점까지의 거리 범주에 대한 음이항 회귀분석 결과, 거리 범주는 주출입문에서 400m까지 교통사고 발생건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보호구역 가변속도제한 준거 및 운영방안을 도출하였으며 준거로는 대상 도로, 도로 종류, 도로 형상, 사고 및 안전 문제, 어린이 보행교통량, 차량 교통량의 여섯 가지 항목을 제시하였다. <br>또한, 운영방안으로 지정 구간의 범위, 도로 형상, 운영시간 및 제한속도, 운영 요일, 어린이 보행교통량, 시스템의 여섯 가지를 제시하였다. <br>본 연구는 어린이보호구역 가변속도제한을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초등학교 통학로의 교통안전과 효율적인 운영, 두 가지를 다 추구하기 위한 교통기법 적용 및 운영 방안의 기초논문으로 의의가 있다.
URI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24546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Special Graduate Schools > Graduate School of Science and Technology > Department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Engineering > 4. Theses(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