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보호구역 가변속도제한 적용 및 운영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윤일수-
dc.contributor.author윤진수-
dc.date.accessioned2025-01-25T01:36:03Z-
dc.date.available2025-01-25T01:36:03Z-
dc.date.issued2023-08-
dc.identifier.other32966-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24546-
dc.description학위논문(박사)--교통공학과,2023. 8-
dc.description.abstract속도관리는 교통안전의 중요한 정책이며 도로 특성 등 교통환경과 여건을 고려하여 운전자와 보행자의 수요에 부합하도록 정교하게 운영되어야 한다. <br>어린이보호구역의 경우 시간대에 관계없이 제한속도를 30km/h 이하로 설정, 운영함으로써 차량 이동 불편에 대한 불만이 증폭되고 있으며, 어린이 교통사고가 어린이 보호구역 이외의 지역에서 약 90% 전후로 발생하여 어린이 보호구역 확대와 제한속도의 보다 엄격한 적용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br>본 연구에서는 어린이보호구역으로 지정되지 않았지만 여전히 어린이 안전 조치가 필요한 지역에서 가변속도제한 준거 및 운영방안을 제시하여, 어린이보호구역 운영 효율성과 교통안전 문제를 해결하는 정책적 대안으로 어린이보호구역 가변속도제한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어린이 보호구역 지정 현황, 가변속도제한 정책 및 관련 연구를 살펴보고 전문가를 비롯한 교통주체별 설문조사와 초등학교 주출입문 주변 통학로의 어린이 보행교통사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br>초등학교 주변에서 발생한 사고에 대해 초등학교 주출입문에서 사고발생지점까지의 거리 범주에 대한 음이항 회귀분석 결과, 거리 범주는 주출입문에서 400m까지 교통사고 발생건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보호구역 가변속도제한 준거 및 운영방안을 도출하였으며 준거로는 대상 도로, 도로 종류, 도로 형상, 사고 및 안전 문제, 어린이 보행교통량, 차량 교통량의 여섯 가지 항목을 제시하였다. <br>또한, 운영방안으로 지정 구간의 범위, 도로 형상, 운영시간 및 제한속도, 운영 요일, 어린이 보행교통량, 시스템의 여섯 가지를 제시하였다. <br>본 연구는 어린이보호구역 가변속도제한을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초등학교 통학로의 교통안전과 효율적인 운영, 두 가지를 다 추구하기 위한 교통기법 적용 및 운영 방안의 기초논문으로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1 <br>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r>1. 연구의 배경 1 <br>2. 연구의 목적 3 <br> <br>제2절 연구의 범위 5 <br>1. 시간적 범위 5 <br>2. 공간적 범위 5 <br>3. 내용적 범위 5 <br> <br>제3절 연구의 방법 및 절차 6 <br>1. 연구의 방법 6 <br>2. 연구의 절차 9 <br> <br>제2장 어린이보호구역 가변속도제한 정책 및 연구 고찰 11 <br>제1절 어린이보호구역 가변속도제한 정책 고찰 11 <br>1. 국내 어린이보호구역 및 가변속도제한 정책 11 <br>2. 국외 어린이보호구역 가변속도제한 정책 15 <br> <br>제2절 가변속도제한 연구 고찰 17 <br>1. 국내 가변속도제한 관련 선행연구 고찰 17 <br>2. 국외 가변속도제한 관련 선행연구 고찰 19 <br>3. 연구의 차별성 21 <br> <br>제3장 어린이 교통사고 통계 분석 22 <br>제1절 개요 22 <br>1. 일반 현황 22 <br>2. 어린이 보호구역 사고 현황 23 <br> <br>제2절 주요 도시별 사고현황 26 <br>1. 화성시 27 <br>2. 평택시 33 <br>3. 안양시 37 <br>4. 오산시 40 <br> <br>제3절 TAAS 사고데이터 기반의 가변속도제한 적용 구간 도출 43 <br>1. GIS 교통사고 분석을 통한 대상 학교 선정 43 <br>2. GIS 분석 결과 78 <br> <br>제4장 어린이보호구역 가변속도제한 운영 설문조사 79 <br>제1절 조사 개요 79 <br>1. 조사 목적 79 <br>2. 조사 대상 79 <br>3. 조사 내용 79 <br> <br>제2절 설문조사 결과 80 <br>1. 분석 개요 80 <br>2. 어린이보호구역 문제점 83 <br>3. 가변속도제한 운영 및 어린이보호구역 확대 필요성 84 <br>4. 운영 요일 및 시간 86 <br>5. 교통안전표지 선호도 조사 87 <br>6. 운영 방안 및 준거 92 <br>7. 도입 효과 97 <br> <br>제3절 어린이보호구역 가변속도제한 운영방안 도출 98 <br>1. 운영방안 도출방법 98 <br>2. 규정 및 매뉴얼 기반 운영방안 98 <br>3. 전문가 설문조사 기반 운영방안 정립 100 <br>4. 사고자료 통계 분석 기반 운영방안 101 <br>5. 운영방안 적용(안) 도출 104 <br>6. 어린이보호구역 가변속도제한 운영방안 적용 107 <br> <br>제4절 운영방안 시범 적용 117 <br> <br>제5절 어린이보호구역 가변속도제한 준거(안) 121 <br> <br>제6절 정책적 제언 123 <br> <br>제5장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127 <br>제1절 결론 127 <br> <br>제2절 향후 연구과제 131 <br> <br>참고문헌 132-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어린이보호구역 가변속도제한 적용 및 운영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Study on the Application and Operation of the Variable Speed Limits in School Zones-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대학원-
dc.contributor.alternativeNameYOONJINSOO-
dc.contributor.department일반대학원 건설교통공학과-
dc.date.awarded2023-08-
dc.description.degreeDoctor-
dc.identifier.localIdT000000032966-
dc.identifier.urlhttps://dcoll.ajou.ac.kr/dcollection/common/orgView/000000032966-
dc.subject.keyword가변속도제한-
dc.subject.keyword어린이보호구역-
dc.subject.keyword어린이보호구역 가변속도제한 운영방안-
dc.subject.keyword어린이보호구역 대상 범위 선정-
dc.subject.keyword어린이보호구역 보행사고 분석-
Appears in Collections:
Special Graduate Schools > Graduate School of Science and Technology > Department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Engineering > 4. Theses(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