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ou University repository

노인의 자아 통제감과 인식된 제약이 셀프서비스 키오스크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긍정적 및 부정적 심리-성격 요인 을 중심으로
  • 박영진 ;
  • 김태진 ;
  • 김주희 ;
  • 강주영
Citations

SCOPUS

0

Citation Export

Publication Year
2024-11
Journal
서비스경영학회지
Publisher
한국서비스경영학회
Citation
서비스경영학회지, Vol.25 No.4, pp.149-180
Keyword
Self-controlPerceived constraintsSocioemotional Selectivity TheorySelf-service kiosksIntension to use자아 통제감인식된 제약사회정성적 선택이론셀프키오스크사용의도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정서적 선택이론을 기반으로, 고령층 노인의 자아 통제감과 인식된 제약이 셀프키오스크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COVID-19 팬데믹으로 가속화된 디지털 전환은 고령층에게 심리적·정서적 도전을 부여하고 비대면 기술의 확산은 고령층 사용자들에게 심리적 부담과 기술적 제약을 야기하였다. 본 연구는 SmartPLS 4.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자아 통제감이 셀프키오스크 사용 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반면, 인식된 제약은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자아 통제감은 기대감과 개방성 등 긍정적 심리 변수와 상호 강화되며, 이는 고령층이 감정적 가치를 중시한다는 사회정서적 선택이론의 주장과 일치한다. 연구는 고령층의 디지털 기술 수용을 촉진하기 위해 자아 통제감을 강화하고 심리적 장벽을 줄이는 맞춤형 감성적 접근법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이를 통해 디지털 격차 해소 및 비대면 기술 활용을 증진할 방안을 제안한다.
ISSN
1598-1150
Language
Kor
URI
https://aurora.ajou.ac.kr/handle/2018.oak/36102
DOI
https://doi.org/10.15706/jksms.2024.25.4.007
Type
Article
Show full item recor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Kang, Ju Young Image
Kang, Ju Young강주영
Department of Business Intelligence
Read More

Total Views & Downloads

File Download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