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사회정서적 선택이론을 기반으로, 고령층 노인의 자아 통제감과 인식된 제약이 셀프키오스크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COVID-19 팬데믹으로 가속화된 디지털 전환은 고령층에게 심리적·정서적 도전을 부여하고 비대면 기술의 확산은 고령층 사용자들에게 심리적 부담과 기술적 제약을 야기하였다. 본 연구는 SmartPLS 4.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자아 통제감이 셀프키오스크 사용 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반면, 인식된 제약은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자아 통제감은 기대감과 개방성 등 긍정적 심리 변수와 상호 강화되며, 이는 고령층이 감정적 가치를 중시한다는 사회정서적 선택이론의 주장과 일치한다. 연구는 고령층의 디지털 기술 수용을 촉진하기 위해 자아 통제감을 강화하고 심리적 장벽을 줄이는 맞춤형 감성적 접근법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이를 통해 디지털 격차 해소 및 비대면 기술 활용을 증진할 방안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