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이주미 | - |
dc.contributor.author | 김은정 | - |
dc.date.issued | 2022-12 | - |
dc.identifier.issn | 2093-9833 | - |
dc.identifier.uri | https://aurora.ajou.ac.kr/handle/2018.oak/35705 | - |
dc.description.abstract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외상 경험이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외상 경험에 대한 자기노출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의도적 반추와 적극적 대처의 순차적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br>연구방법: 대학생 318명을 대상으로 외상 경험에 대한 자기노출, 의도적 반추, 적극적 대처인 문제해결 중심 대처 및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 외상 후 성장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br>연구결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첫째, 의도적 반추는 외상 경험에 대한 자기노출과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였다. 둘째, 적극적 대처 중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는 외상 경험에 대한 자기노출과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였다. 셋째, 의도적 반추와 적극적 대처인 문제해결 중심 대처 및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는 외상 경험에 대한 자기노출과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를 순차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r>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외상을 경험한 사람의 치료적 개입에 있어 정서적 요인, 인지적 요인, 행동적 요인을 통합적으로 다뤄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인지발달중재학회 | - |
dc.title | 대학생의 외상 경험에 대한 자기노출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의도적 반추와 적극적 대처의 순차적 다중매개효과 | - |
dc.title.alternative | The Effects of Self-Disclosure about Traumatic Experiences on Post-traumatic Growth in College Students: The Sequential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Deliberate Rumination and Active Coping | - |
dc.type | Article | - |
dc.citation.endPage | 62 | - |
dc.citation.number | 4 | - |
dc.citation.startPage | 39 | - |
dc.citation.title | 인지발달중재학회지 | - |
dc.citation.volume | 13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3 No.4, pp.39-62 | - |
dc.identifier.doi | 10.21197/JCEI.13.4.3 | - |
dc.subject.keyword | 자기노출 | - |
dc.subject.keyword | 의도적 반추 | - |
dc.subject.keyword | 적극적 대처 | - |
dc.subject.keyword | 외상 후 성장 | - |
dc.subject.keyword | self-disclosure | - |
dc.subject.keyword | deliberate rumination | - |
dc.subject.keyword | active coping | - |
dc.subject.keyword | post-traumatic growth | - |
dc.type.other | Article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