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고호경 | - |
dc.contributor.author | 허난 | - |
dc.contributor.author | 노지화 | - |
dc.date.issued | 2021-08 | - |
dc.identifier.issn | 1225-1380 | - |
dc.identifier.uri | https://aurora.ajou.ac.kr/handle/2018.oak/35447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롤플레이 게임(Role-play Game) 개념을 차용한 역할연기발표(Role-play Presentation) 기법을 적용하여 미래 교육에서 인간 교사-인공지능 교사 간의 상호작용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기대감을 시각화함으로써 교사들의 협업과정에서 성과 있는 토론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는 수업 상황에서 인간 교사가 수업의 주도권과 학생과의 상호작용 활성화를 전제로 수업의 질적 향상과 개별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보조 도구로써의 인공지능 교사의 상호작용 요인들을 제안하고 있었다.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한국수학교육학회 | - |
dc.title | RPP(Role-Play Presentation)를 통한 교사의 AI 교사와의 지각된 상호작용성 분석 | - |
dc.title.alternative | An analysis of in-service teachers’ perceived interactivity with AI teachers through RPP(Role-Play Presentation) | - |
dc.type | Article | - |
dc.citation.endPage | 340 | - |
dc.citation.number | 3 | - |
dc.citation.startPage | 321 | - |
dc.citation.title | 수학교육 | - |
dc.citation.volume | 60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수학교육, Vol.60 No.3, pp.321-340 | - |
dc.identifier.doi | 10.7468/mathedu.2021.60.3.321 | - |
dc.subject.keyword | 만다라트 | - |
dc.subject.keyword | 상호작용성 | - |
dc.subject.keyword | 역할연기발표 | - |
dc.subject.keyword | 인공지능 | - |
dc.subject.keyword | 인공지능 수학 교사 | - |
dc.subject.keyword | mandal-art | - |
dc.subject.keyword | interactivity | - |
dc.subject.keyword | role-play presentation | - |
dc.subject.keyword | artificial intelligence(AI) | - |
dc.subject.keyword | AI mathematics teacher | - |
dc.type.other | Article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