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ou University repository

다당체제 대통령제에서의 입법적 협력과 정치제도: 거부권행사자 이론 및 게임이론 분석
Citations

SCOPUS

0

Citation Export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문우진-
dc.date.issued2020-10-
dc.identifier.issn1738-7477-
dc.identifier.urihttps://aurora.ajou.ac.kr/handle/2018.oak/35284-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의 입법적 협력 조건에 대한 분석은 다음과 같은 결과를 산출하였다. 첫째, 정당들이 한 쟁점에서 경쟁하는 경우, 정당들은 서로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대안이 있는 경우에만 협력한다. 둘째, 정당들이 여러 쟁점을 두고 경쟁하는 경우, 이들이 중시하는 영역이 서로 다를수록 협력가능성은 증가한다. 셋째, 의제설정 정당과 의사진행 방해중추 정당의 이념이 서로 비슷할수록 입법적 협력이 증가한다. 본 논문은 또한 다당체제가 협치를 촉진한다는 주장의 이론적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초다수의결제를 채택한 국회에서는 군소 중도정당이 의사진행 방해중추 지위를 차지할 수 있는 제한적인 경우에 입법적 협력이 촉진된다. 본 논문은 마지막으로 입법적 협력을 촉진하는 정부형태에 대해 논의한다. 서로 다른 정책 영역을 중시하는 정책 정당들이 연합정부에 참여하는 다당체제 의회제는 입법적 협력을 촉진시킬 수 있다.-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dc.title다당체제 대통령제에서의 입법적 협력과 정치제도: 거부권행사자 이론 및 게임이론 분석-
dc.title.alternativeLegislative Cooperation in Multiparty Presidentialism: A Veto Player and Game Theoretical Analysis-
dc.typeArticle-
dc.citation.endPage122-
dc.citation.number3-
dc.citation.startPage93-
dc.citation.title한국정치연구-
dc.citation.volume29-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정치연구, Vol.29 No.3, pp.93-122-
dc.identifier.doi10.35656/JKP.29.3.4-
dc.subject.keywordlegislative cooperation-
dc.subject.keywordagenda-setter-
dc.subject.keywordfilibuster pivot-
dc.subject.keywordveto player theory-
dc.subject.keywordmultiparty system-
dc.subject.keywordpresidential system-
dc.subject.keywordsupermajoritarian rules-
dc.subject.keyword협치-
dc.subject.keyword입법적 협력-
dc.subject.keyword의제설정자-
dc.subject.keyword의사진행 방해중추-
dc.subject.keyword거부권행사자 이론-
dc.subject.keyword다당체제-
dc.subject.keyword대통령제와 의회제-
dc.type.otherArticle-
Show simple item recor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Moon, Woojin  Image
Moon, Woojin 문우진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and Diplomacy
Read More

Total Views & Downloads

File Download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