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안지연 | - |
dc.contributor.author | 김영은 | - |
dc.date.issued | 2019-05 | - |
dc.identifier.issn | 1976-4227 | - |
dc.identifier.uri | https://aurora.ajou.ac.kr/handle/2018.oak/35012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초학문적 융합의 개념과 특징에 대한 범학문적 논의를 분석하여 초학문적 융합 패러다임의 수업 설계 원리를 탐색하는 데에 있다. 초학문적 융합 패러다임에 관한 논의를 종합하면 실제 삶의 맥락/현실, 협업/협력, 융합/통합/연합, 탐구/연구, 지식 생산, 실천/행동, 복잡성/복합성, 학생 중심/학생 주도, 장소성/맥락성, 불확실성, 의사소통, 시간성, 반성/순환 등의 개념이 반복적으로 등장하며 이러한 초학문적 융합의 특징과 요소에 관한 논의 중에서 수업의 맥락에 부합하면서 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5가지 원리를 선정하였다. 5가지 초학문적 융합 수업 설계 원리는 복잡성(Tangled), 실제 삶 맥락(Real-Life Context), 행동(Action), 지식 생산(kNowledge Production), 학생 중심(Student-Centered)이며 이를 TRANS모형으로 명명하였다. 이러한 초학문적 융합 수업의 설계 원리는 초학문적 융합 수업의 방향을 제시하며 평가의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 - |
dc.title | 초학문적 융합(transdisciplinary) 패러다임의 수업 설계 원리 탐색 | - |
dc.title.alternative | Exploring the Curriculum Design Principles for Transdisciplinary Learning | - |
dc.type | Article | - |
dc.citation.endPage | 50 | - |
dc.citation.number | 2 | - |
dc.citation.startPage | 23 | - |
dc.citation.title | 통합교육과정연구 | - |
dc.citation.volume | 13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3 No.2, pp.23-50 | - |
dc.identifier.doi | 10.35304/JCI.13.2.02 | - |
dc.subject.keyword | 초학문적 융합 | - |
dc.subject.keyword | 수업 설계 원리 | - |
dc.subject.keyword | transdisciplinary learning | - |
dc.subject.keyword | curriculum design principles | - |
dc.type.other | Article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