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ou University repository

송강가사의 선본 재고
Citations

SCOPUS

0

Citation Export

Publication Year
2018-02
Journal
열상고전연구
Publisher
열상고전연구회
Citation
열상고전연구 No.61, pp.109-141
Keyword
Songgang kasathe best versiondifferent versionsthe version of Yi Seonthe version of Seongjuthe version of Kwanseo송강가사선본판본이본이선본성주본관서본
Abstract
본고에서는 현전하는 송강가사의 세 판본을 비교하여 그 선본을 재고하였다. 송강가사의 판본에 대한 연구는 일찍부터 이루어졌지만, 판본 간의 관계 및 선본에 대한 의식은 여전히 명확하지 않다. 이에 본고에서는 어학적 측면과 문학적 측면의 양 방면에서 세 판본의 차이점을 검토하고, 이를 통해 시대적 선후 관계 및 문학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에 앞서 판본들의 발문을 비교하여 선본에 대한 간행자들의 의식을 파악하고 그간 잘못 알려졌던 영인본의 오류도 교정하였다. <br>어학적 측면에서 볼 때 시기적으로 빠른 면모를 보이는 것은 ‘이선본’이다. 본고에서는 ‘이선본’을 성주본 및 관서본과 비교하여 실제로 ‘이선본’이 나머지 두 판본에 비해 어학적으로 더 고형을 지님을 밝혔다. 성주본과 관서본에서는 구개음화와 원순모음화 등의 음운 규칙, 그리고 분철과 혼철 등의 표기법을 더 자주 사용하여 후대적 특징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문학적 측면에서 볼 때도 ‘이선본’은 성주본에 비해 더 의미가 있다. 구절이나 행뿐 아니라 단어나 형태소 등에서 차이를 보이는 부분에서도 ‘이선본’은 내용적․형식적으로 보다 자연스러운 면모를 지니고 있다. <br>본고에서 검증한 것처럼 어학적 측면에서 ‘이선본’이 고형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은 ‘이선본’이 현전하는 세 판본 중 시기적으로 가장 앞선 본이며, 관서본의 모본이 된 관북본 혹은 의성본으로 이것을 볼 가능성이 더욱 크다는 점을 말해준다. 또한 ‘이선본’은 문학적 측면에서도 내용적으로나 형식적으로 성주본에 비해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이선본’이 지니고 있는 선본으로서의 가치는 보다 더 확고히 정립될 필요가 있다.
ISSN
1738-2734
Language
Kor
URI
https://aurora.ajou.ac.kr/handle/2018.oak/34734
DOI
https://doi.org/10.15859/yscs..61.201802.109
Type
Article
Show full item recor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Kim, Jinhee Image
Kim, Jinhee김진희
Dasan University College
Read More

Total Views & Downloads

File Download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