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플라즈마의 화장품 가능성 평가

Alternative Title
Evaluation of the Potential of NO Plasma Cosmetics
Author(s)
이소민
Alternative Author(s)
So Min Lee
Advisor
빈범호
Department
일반대학원 생명과학과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Publication Year
2023-08
Language
kor
Keyword
anti-agingatmospheric pressure plasma sourcenitrogen plasmaplasma activatedwound healing
Abstract
플라즈마는 이온화된 기체로, 고체, 액체, 기체에 이은 4 번째 상의 물질이다. 주로 용접과 네온 사인, 반도체 산업에 응용 및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 암 치료 등 의료 분야에도 적용되고 있으며 피부에서는 콜라겐 생성 촉진, 피부 톤 개선, 피부 유해균 사멸 등의 다양한 효과가 보고되고 있어 활용 분야는 계속해서 확대될 전망이다. <br> 본 연구는 대기의 주성분인 질소를 활용한 화장품 제조용 플라즈마 기기를 통해 플라즈마 활성종 중, 추적 평가가 용이한 nitric oxide (NO)의 양을 측정하여 플라즈마의 양적/질적 평가를 진행하였다. 효율적인 플라즈마 처리를 위해 sinking과 non sinking 법을 활용한 처리 방법을 시도한 결과, non sinking 법을 활용한 처리 방법이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br> 나아가 토너와 앰플을 화장품 제형으로 선택하여 NO 플라즈마 주입 후 제형의 성상 및 주입한 플라즈마의 상태 변화를 관찰하였다. 두 제형에서 NO 플라즈마의 주입 성공량은 토너가 앰플보다 약 2 배 가량 높았으며, 시간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일주일 후, 소실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사용된 NO 플라즈마는 저온(4 ℃), 실온(25 ℃), 고온(37 ℃, 50 ℃) 조건에서 토너와 앰플 제형의 안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는 NO 플라즈마의 화장품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주입된 플라즈마의 안정성 확보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URI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24565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Bioscience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