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기반 및 잠재프로파일을 통한 로보택시 사용자 수용성 평가 모델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오세창 | - |
dc.contributor.author | 김인수 | - |
dc.date.accessioned | 2025-01-25T01:35:55Z | - |
dc.date.available | 2025-01-25T01:35:55Z | - |
dc.date.issued | 2023-08 | - |
dc.identifier.other | 32970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24389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박사)--건설교통공학과,2023. 8 | - |
dc.description.abstract | 최근 교통 분야에 정보통신기술과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과 같은 혁신 기술이 융·복합되면서 자율주행자동차를 비롯한 미래 모빌리티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치열한 경쟁이 진행되고 있다. 자율주행자동차 분야의 파생된 서비스 사례로 대표적으로 전기차 기반의 로보택시가 있으며, 이는 자율주행자동차의 확산 및 다양한 사회적 변화를 이끌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로보택시에 대한 상용화와 더불어 성공적으로 활성화하기 위해 중요한 전제조건은 이용자의 수용성을 기반으로 해야 한다는 점이다. 자율주행자동차와 같은 첨단기술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수용성을 분석하기 위해 기술수용모델이 도입되었으며 최근에는 이를 확장하여 혜택과 희생 등을 전반적으로 고려한 가치기반수용모델이 적용되고 있다. <br>본 연구는 로보택시에 대한 사용자들의 수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가치기반수용모델을 통해 분석할 뿐만 아니라, 로보택시 수용 집단 내에서 각 요인들의 조합이 어떠한 특성을 보이고,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해 알아봄으로써 로보택시 서비스의 보급·확산에 도움이 되는 이론적, 실무적 지침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우선 로보택시 혜택과 희생 요인을 고려한 가치기반수용모델의 사용자 수용성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지각된 혜택, 지각된 희생과 차량공유서비스, 택시, 자율주행자동차와 자가용에 대한 선호를 독립변수로 선정하여, 경기도민을 대상으로 지각된 가치 및 수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로보택시 수용성 관련 가치기반수용모델 변수들을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수행하여 개별 문항 반응 패턴을 가지고 서로 비슷한 응답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묶어 동일한 집단 혹은 그룹으로 유형화하고 상세 분석하였다. <br>본 연구는 자율주행기반 로보택시에 대한 수용성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가치기반수용모델 및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하여 로보택시 수용성 제고를 위한 요소들을 분석하였고 관련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로보택시의 수용성 확장을 위한 의미 있는 기초 연구로서 의의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로보택시 서비스 활성화시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서론 1 <br>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r> 1. 연구의 배경 1 <br> 2. 연구의 목적 2 <br> 제2절 연구의 범위 3 <br> 제3절 연구의 수행절차 및 방법 4 <br> 제4절 연구의 기여도 6 <br> <br>제2장 관련 이론 및 선행 연구 7 <br> 제1절 관련 이론 7 <br> 1. 로보택시 정의 8 <br> 2. 기술적 동향 9 <br> 3. 로보택시 운영 사례 9 <br> 4. 가치기반수용모델 11 <br> 5. 잠재프로파일분석 16 <br> 제2절 선행 연구 20 <br> 1. 자율주행자동차 수용성 선행 연구 20 <br> 2. 가치기반수용모델 선행 연구 23 <br> 3. 잠재프로파일분석 선행 연구 26 <br> 4. 관련 연구 고찰 결과 및 시사점 29 <br> <br> <br>제3장 연구방법 31 <br> 제1절 연구방법론 설계 31 <br> 제2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34 <br> 1. 지각된 혜택 :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즐거움 34 <br> 2. 지각된 희생 : 기술적 특성, 지각된 비용 36 <br> 3. 지각된 가치 39 <br> 4. 수용 의도 40 <br> 5. 선호 41 <br> 제3절 가설 설정 44 <br> 1. 지각된 혜택과 지각된 가치와의 관계 45 <br> 2. 지각된 희생과 지각된 가치와의 관계 45 <br> 3. 지각된 가치와 수용 의도와의 관계 46 <br> 4. 선호와의 관계 46 <br> 제4절 설문지 구성과 분석 방법 48 <br> 1. 설문지 구성 48 <br> 2. 분석 방법 48 <br> <br>제4장 로보택시 수용성 모형 분석 50 <br> 제1절 설문조사 수행 50 <br> 1. 지각된 혜택 :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즐거움 50 <br> 2. 지각된 희생 : 기술적 특성, 지각된 비용 51 <br> 3. 지각된 가치 및 수용 의도 52 <br> 4. 선호 52 <br> 제2절 기초통계 분석 54 <br> 제3절 확인적 요인분석 및 이론모형 분석 56 <br> 1. 확인적 요인분석 56 <br> 2. 이론모형 분석을 통한 가설 검증 및 경로 해석 61 <br> 제4절 잠재프로파일분석 70 <br> 1. 잠재프로파일 수 결정 70 <br> 2. 잠재프로파일 유형 특성 분석 74 <br> 3. 유형과 결과변수 간의 영향 77 <br> 4. 유형과 예측변수 간의 영향 80 <br> 5. 유형별 지역 분포 현황 82 <br> 제5절 소결 88 <br> <br>제5장 결론 및 시사점 90 <br> 제1절 결론 90 <br> 제2절 시사점 92 <br> <br>참고문헌 96 <br> <br>부록 108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가치기반 및 잠재프로파일을 통한 로보택시 사용자 수용성 평가 모델 | - |
dc.title.alternative | User Acceptability Assessment Model for Robo Taxi through Value Based Adoption and Latent Profile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대학원 | - |
dc.contributor.department | 일반대학원 건설교통공학과 | - |
dc.date.awarded | 2023-08 | - |
dc.description.degree | Doctor | - |
dc.identifier.localId | T000000032970 | - |
dc.identifier.url | https://dcoll.ajou.ac.kr/dcollection/common/orgView/000000032970 | - |
dc.subject.keyword | 가치기반수용모델 | - |
dc.subject.keyword | 로보택시 | - |
dc.subject.keyword | 수용성 | - |
dc.subject.keyword | 잠재프로파일분석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