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ou University repository

경기도 음식물류 폐기물의 효율적 관리정책
  • 홍용산
Citations

SCOPUS

0

Citation Export

Advisor
이상은
Affiliation
아주대학교 산업대학원
Department
산업대학원 환경공학과
Publication Year
2008-02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Keyword
음식물류폐기물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산업대학원 산업대학원 :환경공학과,2008. 2
Abstract
본 정책의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음식물류 폐기물의 처리 실태에 관하여 경기도를 중심으로 함수율이 높은 음식물류 폐기물의 재활용 방법을 개선 하여 보다 효율적인 자원화 관리 정책 방향을 다음과 같이 검토 제시 하였다. 효율적인 飮廢物의 資源化를 유도하기 위하여 는 排出源 性狀 별로 아래와 같이 대표적인 3가지 방법으로 구분 관리하여야 할 것을 제안 한다. 첫째, 가축의 사료로 재활용 하기위한 대상 폐기물은 성상이 균일 하고 당일 배출 당일 수거로 신선도 유지가 용이한 집단급식소, 규모이상 음식점, 농산물유통시설 등 의 감량의무 사업장이 전용용기로 배출하는 것만을 대상으로 하여야 한다. 둘째, 유기질 퇴비화 대상은 지연배출 되어 신선도는 낮지만 전용용기에 의하여 집단 배출이 가능한 공동주택이나, 단독 주택 지역이라도 용기 배출이 정착되어진 가정 음식물류 폐기물로 한정하여야 한다. 셋째, 전용 용기 배출이 어려운 지역에 해당되는 소규모 음식점, 분산 단독주택지역 등의 가정음식물류 폐기물은 일반 쓰레기 종량제 봉투에 혼입 배출후, 가동율 이 저조한 도내 소각장에서 소각처리 함으로서 소각율 향상과 여열 에너지를 자원회수 활용 함으로써 소각 비용의 절감을 기할수 있다. 이러한 배출원 성상에 따라 구별된 방법의 자원화를 통하여 배출 수거 처리 비용 절감과 고품질의 사료, 퇴비 생산 판매 유통은물론, 일부 가정 주부들의 분리 배출 스트레스를 해소 하며 문제점으로 제기 되어온 음식물류 폐기물의 자원화 공정에서 발생 되는 음 폐수의 해양 배출량 감축정책 에도 크게 기여 하게 될 수 있다고 사료되어 제안 한다.
Language
kor
URI
https://aurora.ajou.ac.kr/handle/2018.oak/16982
Journal URL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829
Type
Thesis
Show full item recor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Total Views & Downloads

File Download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