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ou University repository

폐가전제품 회수 물류체계 효율화 연구
  • 류재환
Citations

SCOPUS

0

Citation Export

Advisor
임석철
Affiliation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산업공학과
Publication Year
2007-02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Keyword
reverselogisticsappliance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산업공학과,2007.2
Abstract
현재 국내 전자산업의 성장과 더불어 폐가전 제품이 대량으로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이와 함께 환경에 대한 관심이 점차 고조되고 있는 사회 분위기에서 이의 처리를 위한 활동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폐전자제품의 처리를 위한 회수 물류 활동에 대해 살펴보자 한다. 국내 폐전자 제품의 처리는 재활용, 재이용, 매립 또는 소각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자원의 재활용면이나 정부에서 마련한 EPR제도 등에 맞춘 폐전자제품의 재활용 활동이 가장 활발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폐전자제품의 재활용 처리를 위한 수거지와 처리지간의 최적 할당을 전체 네트워크의 총 운송비 최소화를 목적함수로 하는 선형 계획법을 활용 하여 실시하였으며 제약식을 활용하여 각 처리지의 가동율을 조정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이 모델을 활용한 프로그램을 수행한 결과 최대 22%의 운송비 절감을 가져올 수 있었으며 가동율을 조정한 결과는 12%의 운송비 절감을 가져 올 수 있었다. 그리고 Francis&White(1974)의 Rectilinear-Distance Location Problem 이론을 활용하여 향후 신설될 처리지의 위치 도출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 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기존 수거지와 처리지간의 모든 최단거리 지점을 찾아내어 운송비를 산출하는 방법으로 최적 위치를 찾아내게 된다. 마지막으로 현재 발생하는 폐가전제품 물량을 활용하여 향후 발생 예상되는 물량을 도출하고 현재 국내에 갖추어진 처리능력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폐전자제품의 처리능력 부족 현상을 예측하였다.
Alternative Abstract
There is a trend of increasing consumption of electronic products with the growth of domestic electronic industry. And the life cycle of electronic products has been shortened, which negatively affects the environment. Therefore, many advanced countries have set regulations which strongly requires disposing the end-of-life electronic products properly. Unfortunately, however, little attempt has been made to deal with this issue domestically. As a result, the domestic disposal process of end-of-life electronic products has not been optimized yet and counting of disposed products is only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industry and government. When we forecast increasing amount of disposals of electronic products in the near future, the logistics cost will become more burden to the industry, government and even consum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optimized reverse logistics network model, which consists of collection and final disposal locations of end-of-life electronic products by applying linear programming method. This study also indicates that the location of new recycling center, which will be needed for taking care of increased disposals in the near future, as well as optimal allocation results including this new location.
Language
kor
URI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8188
Fulltext

Type
Thesis
Show full item recor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Total Views & Downloads

File Download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