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ou University repository

자조관리 프로그램이 여성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김현지
Citations

SCOPUS

0

Citation Export

Advisor
현명선
Affiliation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Publication Year
2008-02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Keyword
류마티스관절염자조관리프로그램자기효능감삶의 질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2008. 2
Abstract
본 연구는 자조관리 프로그램을 간호중재로 적용하여 여성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의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이용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수원에 소재한 A 대학 부속병원에서 류마티스 관절염으로 치료중인 환자를 근접 모집단으로 하여 임의 표출한 실험군 15명, 대조군 16명 등 총 31명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07년 7월 1일부터 2007년 9월 15일까지이었으며, 중재방법은 자조관리 프로그램을 2007년 7월 13일부터 8월 17일까지 매주 금요일 2시부터 4시에서 4시 30분까지 2시간 ~ 2시간 30분씩 자조관리 전문 강사 1인과 본연구자가 협동하여 6주간 6회 적용하였다. 자조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변수로는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을 측정하였고, 자료들은 SPSS/Window 12.0을 이용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과 종속변수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증은 chi-square test와 t-test로 분석하였고, 가설검증은 paired t-test와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자조관리 프로그램 실시 후 자기효능감 점수가 높아질 것이다”라는 제 1가설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자조관리 프로그램 실시 전후의 자기효능감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t=2.418, p=.022) 제 1가설은 지지되었다. 2.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자조관리 프로그램 실시 후 삶의 질 점수가 높아질 것이다”라는 제 2가설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자조관리 프로그램 실시 전후의 삶의 질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t=2.308, p=.028) 제 2가설은 지지되었다. 본 연구는 여성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에게 자조관리 프로그램을 적용시켜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효율적인 간호중재로 도움이 될 것이다.
Alternativ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a quasi-experimental study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elf-management program on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for women with rheumatoid arthritis. In this study, a survey on 31 patients experimental group of 15 patients and control group of 16 patients sampling an adjacent population at random - who were operated on the rheumatoid arthritis and were in the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Suwon between Jul 07 2007 and Sep 15 2007. 16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received no intervention and 15 subjects in experimental group received Self-Management program cooperating with a speciality lecturer in doing it during 6 weeks, for 2 or 2 hours 30 minutes, weekly on Fridays between Jul 13 2007 and Aug 17 2007.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Self management program,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as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measured. For analyzing the data, the SPSS/Window 12.0 program was used. As the analysis method, t-test and Chi-square test were used for the similarity examination of the general trait and dependent variable, and t-test was used for the assumption examin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Hypothesis 1 "Self-efficacy would be improved in the test group given Self-management program control group not given." was accept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t=2.418, p=.022). 2. Hypothesis 2 "Quality of Life would be improved in the test group given Self-management program control group not given." was accept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t=2.308, p=.028).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Self-Management program was an important factor that can improve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for women with rheumatoid arthriti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Self-management program can be used as an efficient nursing intervention for women patient with rheumatoid arthritis.
Language
kor
URI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7228
Fulltext

Type
Thesis
Show full item recor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Total Views & Downloads

File Download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