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안지연 | - |
dc.contributor.author | 김영주 | - |
dc.contributor.author | 증신 | - |
dc.date.issued | 2025-03 | - |
dc.identifier.issn | 2508-6464 | - |
dc.identifier.uri | https://aurora.ajou.ac.kr/handle/2018.oak/36191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부천시 문화도시조성사업의 일환으로 운영하고 있는 문화마을지 원사업의 사회문화적 성과를 분석하고자 문화마을 사례를 마을기업형 , 협동조합형 , 거점중심형 으로 유형화 하고 유형별 대표 사례를 선정하여 질적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현장 기록지 를 비롯하여 개인심층인터뷰, 그룹인터뷰, 관찰, 공공문서 등의 자료를 포화상 태에 이르기까지 수집한 다음, 복잡계이론의 분석 틀에 의해 시간적 흐름에 따 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형별 세 사례 모두 시간적 흐름에 따라 안정기, 혼 돈기를 지나 임계점에 해당하는 사건을 거치면서 자기조직화와 자기유사성, 공 진화 등의 특징을 갖는 다양한 창발현상들이 일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창발현상은 마을지원사업의 사회문화적 성과로 볼 수 있으며, 지역주민 의 자발적 참여와 협력으로 마을공동체 네트워크(사회적 자본) 형성, 마을의 공공성을 위한 지역 문제해결 모색, 독창적이고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문화 콘텐츠 확산으로 지역정체성 강화, 문화활동 주체로서 지역주민의 문화향유 일 상화 실현을 주요 성과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 내에서 풀뿌리 역할을 하는 작은 커뮤니티들이 공동체 안에서 사회문화적 성과를 이끌어내고 있음을 복잡계이론의 관점에서 질적으로 확인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한국지역문화학회 | - |
dc.title | 복잡계이론 관점으로 본 부천문화도시 문화마을지원사업의 창발현상 | - |
dc.title.alternative | Emergent Phenomena in the Cultural Village Support Project of Bucheon’s Cultural City from a Complexity Theory Perspective | - |
dc.type | Article | - |
dc.citation.endPage | 204 | - |
dc.citation.number | 1 | - |
dc.citation.startPage | 171 | - |
dc.citation.title | 지역과문화 | - |
dc.citation.volume | 12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지역과문화, Vol.12 No.1, pp.171-204 | - |
dc.identifier.doi | 10.26654/iagc.2025.12.1.171 | - |
dc.subject.keyword | Bucheon city | - |
dc.subject.keyword | cultural city | - |
dc.subject.keyword | complexity theory | - |
dc.subject.keyword | cultural village support project | - |
dc.subject.keyword | emergent phenomena | - |
dc.subject.keyword | 부천시 | - |
dc.subject.keyword | 문화도시 | - |
dc.subject.keyword | 복잡계이론 | - |
dc.subject.keyword | 문화마을지원사업 | - |
dc.subject.keyword | 창발현상 | - |
dc.type.other | Article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