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ou University repository

예술고등학교 현황 조사 및 운영 방향 제안: 예술고 교육 행정 및 관리자, 예술 교육 연구자, 예술가의 경험으로부터
Citations

SCOPUS

0

Citation Export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안지연-
dc.contributor.author김지현-
dc.contributor.author정옥희-
dc.date.issued2024-12-
dc.identifier.issn1738-8309-
dc.identifier.urihttps://aurora.ajou.ac.kr/handle/2018.oak/3613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변화하는 시대 가운데 예술고의 현황을 조사하고 운영 방향을 제안하고자 수행되었다. 다양한 입장의 구체적인 경험을 청취하고자 음악, 미술, 무용, 연극/영화 분야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예술고 교육 행정및 관리자, 예술 교육 연구자, 예술가 그룹으로 나누어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조사 결과를 예술고의 장점, 단점, 제안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장점을 강화하고 단점을 보완하며 제안을 구체화하여 운영 방향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 집중적이고 효율적인 전공 교육, 예술고 특화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 교과 수업의 내실화, 인성교육의 프로그램화, 다양한 방식과 층위의 연결과 융합 시도, 예술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진로·직업의 발굴 및교육 반영을 운영 방향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나날이 강조되어가는 융합 교육의 필요성과 방법에 대한 재고를촉구하며, 예술가 양성에서 나아가 미래 사회의 수많은 질문을 예술의 사유 방식을 통해 해결하는 미래 예술인재에 대한 개념 확장 및 양성 교육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dc.language.isoKor-
dc.publisher한국예술교육학회-
dc.title예술고등학교 현황 조사 및 운영 방향 제안: 예술고 교육 행정 및 관리자, 예술 교육 연구자, 예술가의 경험으로부터-
dc.title.alternativeCurrent Status and Operational Direction Proposals for Arts High Schools: Insights from Education Administrators, Arts Education Researchers, and Artists-
dc.typeArticle-
dc.citation.endPage275-
dc.citation.number4-
dc.citation.startPage255-
dc.citation.title예술교육연구-
dc.citation.volume22-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예술교육연구, Vol.22 No.4, pp.255-275-
dc.identifier.doi10.23317/kaae.2024.22.4.014-
dc.subject.keyword예술고 현황-
dc.subject.keyword융합 교육-
dc.subject.keyword미래 예술 인재-
dc.subject.keywordcurrent status of art high schools-
dc.subject.keywordconvergence education-
dc.subject.keywordfuture arts talented resource-
dc.type.otherArticle-
Show simple item recor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Ahn, Ji Youn Image
Ahn, Ji Youn안지연
Dasan University College
Read More

Total Views & Downloads

File Download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