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ou University repository

지리교과 정의적 성과와 자기 주도적 학습 준비도 간의 관계
Citations

SCOPUS

0

Citation Export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성정원-
dc.contributor.author김주후-
dc.date.issued2024-02-
dc.identifier.issn1226-511X-
dc.identifier.urihttps://aurora.ajou.ac.kr/handle/2018.oak/3596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지리교과 정의적 성과와 자기 주도적 학습 준비도에 대한 응답 결과를 바탕으로 정의적 성과와 자기주도 학습능력과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782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통계적 분석을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리교과의 정의적 성과 하위요인과 자기 주도적 학습 준비도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리교과의 정의적 성과를 군집분석한 결과 ‘낮은 정의적 성과형’, ‘개인 우선형’, ‘공동체 우선형’, ‘높은정의적 성과형’의 4개 군집으로 유형화되었다. 셋째, 지리교과 정의적 성과 유형에 따른 자기주도 학습 준비도를 보면, 높은 정의적성과형은 모든 유형 중 가장 높은 자기주도 학습 준비도를 보여주고 있고, 낮은 정의적 성과형은 모든 유형 중 가장 낮은 자기주도학습 준비도를 보여주고 있다. 다만, 개인 우선형과 공동체 우선형은 낮은 정의적 성과형보다는 높고, 높은 정의적 성과형보다는낮은 값을 나타내지만, 둘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dc.language.isoKor-
dc.publisher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dc.title지리교과 정의적 성과와 자기 주도적 학습 준비도 간의 관계-
dc.title.alternativeThe Relationship between Geographic Affective Outcomes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dc.typeArticle-
dc.citation.endPage146-
dc.citation.number1-
dc.citation.startPage133-
dc.citation.title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dc.citation.volume32-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32 No.1, pp.133-146-
dc.identifier.doi10.17279/jkagee.2024.32.1.133-
dc.subject.keywordgeographic affective outcome-
dc.subject.keyword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dc.subject.keywordcluster analysis-
dc.subject.keyword지리교과 정의적 성과-
dc.subject.keyword자기 주도적 학습 준비도-
dc.subject.keyword군집분석-
dc.type.otherArticle-
Show simple item recor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Kim, Juhu Image
Kim, Juhu김주후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ad More

Total Views & Downloads

File Download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