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ation Export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김민정 | - |
dc.date.issued | 2021-08 | - |
dc.identifier.issn | 1229-6988 | - |
dc.identifier.uri | https://aurora.ajou.ac.kr/handle/2018.oak/35438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일반계 고등학생을 지각된 진로장벽에 따라 유형화하고 진로교육 및 개입 방안을 모색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를 위해, 경기도 지역 일반계 고등학생 368명(남자 178명, 여자 190명)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변인 및 심리적어려움, 진로정보부족, 경제적어려움, 진로태도성숙, 부모와의 의사소통을 측정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5개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진로장벽 없는 유형(군집1), 경제적 장벽 유형(군집2), 고른 장벽 유형(군집3), 준비 부족 유형(군집4), 높은 장벽 유형(군집5). 집단별 진로태도성숙 및 부모와의 의사소통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각 유형별 진로교육 및 상담에서의 개입 방안을 제안하고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한국청소년학회 | - |
dc.title | 지각된 진로장벽에 따른 일반계 고등학생의 군집분석 | - |
dc.title.alternative | Cluster Analysis on Perceived Career Barriers of Regular High School Students | - |
dc.type | Article | - |
dc.citation.endPage | 273 | - |
dc.citation.number | 8 | - |
dc.citation.startPage | 249 | - |
dc.citation.title | 청소년학연구 | - |
dc.citation.volume | 28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청소년학연구, Vol.28 No.8, pp.249-273 | - |
dc.identifier.doi | 10.21509/KJYS.2021.08.28.8.249 | - |
dc.subject.keyword | 일반계 고등학생 | - |
dc.subject.keyword | 지각된 진로장벽 | - |
dc.subject.keyword | 군집분석 | - |
dc.subject.keyword | 진로태도성숙 | - |
dc.subject.keyword | 부모와의 의사소통 | - |
dc.subject.keyword | Regular High School Students | - |
dc.subject.keyword | Perceived Career Barriers | - |
dc.subject.keyword | Cluster Analysis | - |
dc.subject.keyword | Career Attitude Maturity | - |
dc.subject.keyword | Communication with Parents | - |
dc.type.other | Article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