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ou University repository

미술 감상은 왜 지루한가? - 미술 감상 경험에서 나타나는 지루함 모델 개발을 위한 이론적 탐색 연구 -
Citations

SCOPUS

0

Citation Export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두이-
dc.contributor.author안지연-
dc.date.issued2021-06-
dc.identifier.issn1229-0440-
dc.identifier.urihttps://aurora.ajou.ac.kr/handle/2018.oak/3541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미술 감상 경험에 대한 주요 이론과 지루함에 대한 심리학적 이론 분석을 통해 미적 감상 경험에서 나타나는 지루함의 다면적 특징을 소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미술 감상 경험에서 지루함이 자기 관련성, 스키마 일치, 대처 자원이라는 평가 체계를 통해 나타난다는 것을 도식화하고 그 결과로 무관심 지루함, 자원 부족 지루함, 자원 과다 지루함이 나타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이때 자기 관련성이 낮고 스키마가 일치했을 때에는 무관심 지루함이, 자기 관련성은 높으나 스키마 불일치에 대한 대처 자원이 부족할 때에는 자원 부족 지루함이, 자기 관련성은 높으나 스키마 불일치에 대한 대처 자원이 과다할 때에는 자원 과다 지루함이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각각의 지루함에 대한 특징을 제시하고 이론적 근거에 기반한 대안을 제안하였다.-
dc.language.isoKor-
dc.publisher한국미술교육학회-
dc.title미술 감상은 왜 지루한가? - 미술 감상 경험에서 나타나는 지루함 모델 개발을 위한 이론적 탐색 연구 --
dc.title.alternativeWhy Are We Bored in the Museum? - Theoretical Exploration Study for Boredom in Art Appreciation --
dc.typeArticle-
dc.citation.endPage100-
dc.citation.number2-
dc.citation.startPage74-
dc.citation.title미술교육논총-
dc.citation.volume35-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미술교육논총, Vol.35 No.2, pp.74-100-
dc.subject.keyword미술 감상-
dc.subject.keyword지루함-
dc.subject.keyword평가 이론-
dc.subject.keyword미적 경험-
dc.subject.keywordart appreciation-
dc.subject.keywordboredom-
dc.subject.keywordappraisal theory-
dc.subject.keywordaesthetic experience-
dc.type.otherArticle-
Show simple item recor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Ahn, Ji Youn Image
Ahn, Ji Youn안지연
Dasan University College
Read More

Total Views & Downloads

File Download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