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ou University repository

수용자의 불안과 재범위험성의 관계연구: 사회적지지를 매개로
Citations

SCOPUS

0

Citation Export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정선-
dc.contributor.author최윤영-
dc.contributor.author이승욱-
dc.date.issued2020-12-
dc.identifier.issn1226-6809-
dc.identifier.urihttps://aurora.ajou.ac.kr/handle/2018.oak/3532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교정기관의 수용자들의 대표적인 부정적 정서인 불안과 재범위험성 간의관계에서 긍정적 자원인 사회적 지지가 미치는 매개 영향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법무부 산하 교정기관 중 B 광역시 소재 중경비시설(S4급)인 ‘P’ 교정기관의 남성 수용자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연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로 불안, 사회적지지, 재범위험성 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한결과 (1) 수용자의 불안과 사회적지지는 재범위험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 수용자의 불안과 재범위험성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는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수용자들의 만연한 불안이 재범위험성을 높일 수 있으나, 수용자가 지각하는 사회적지지가 높을 때 재범위험성은 낮아지는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서 수용자의 불안 수준이 높을 때 사회적지지가 재범위험성을 낮추는 역할을 기대할 수 있는 긍정적 심리 자원임을 함의했다.-
dc.language.isoKor-
dc.publisher한국교정학회-
dc.title수용자의 불안과 재범위험성의 관계연구: 사회적지지를 매개로-
dc.title.alternative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isoners' anxiety and recidivism risk and medication effect of : social support-
dc.typeArticle-
dc.citation.endPage126-
dc.citation.number3-
dc.citation.startPage101-
dc.citation.title교정연구-
dc.citation.volume30-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교정연구, Vol.30 No.3, pp.101-126-
dc.identifier.doi10.14819/krscs.2020.30.3.4.101-
dc.subject.keywordPrisoners-
dc.subject.keywordRecidivism Rish-
dc.subject.keywordAnxiety-
dc.subject.keywordSocial support-
dc.subject.keywordCorrection-
dc.subject.keywordCrime-
dc.subject.keywordMediating effect-
dc.subject.keyword수용자-
dc.subject.keyword재범-
dc.subject.keyword불안-
dc.subject.keyword사회적 지지-
dc.subject.keyword교정-
dc.subject.keyword범죄-
dc.subject.keyword재범위험성-
dc.subject.keyword매개효과-
dc.type.otherArticle-
Show simple item recor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Choi, Younyoung  Image
Choi, Younyoung 최윤영
Department of Psychology
Read More

Total Views & Downloads

File Download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