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ation Export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김서용 | - |
dc.date.issued | 2019-12 | - |
dc.identifier.issn | 1229-4241 | - |
dc.identifier.uri | https://aurora.ajou.ac.kr/handle/2018.oak/35141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와 행복 간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의 경향, 쟁점을 분석하고 연구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독립변수로서 국부, 불평등, 정부역할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 있는 실증논문들을 분석하였다. <br>기존 문헌을 분석한 결과, 국부와 행복간 관계에 대한 일관성있는 결과는 도출되지는 않았으며, 이를 둘러싼 다양한 이론적, 방법론적 쟁점이 존재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내용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첫째, 국부, 불평등, 정부역할, 행복 등 이론적 개념요소들의 개념화 및 이들 개념간 비교론적, 통합적 차원의 분석이 필요하다. 둘째, 이론차원에서 분석결과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 개발 및 이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셋째, 모형차원에서는 국부, 불평등, 정부역할을 기본요소로 하는 통합적 이론과 모형의 개발이 요구된다, 넷째, 측정차원에서 일관성있는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측정방법과 측정척도에 대한 개발 노력이 필요하다.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 - |
dc.title | 국가와 행복: 국부, 불평등, 정부역할에 대한 실증연구의 경향 및 쟁점 | - |
dc.title.alternative | State and Happiness: Trends and Issues in Empirical Research on Wealth, Inequality, and the Role of Government | - |
dc.type | Article | - |
dc.citation.endPage | 107 | - |
dc.citation.number | 3 | - |
dc.citation.startPage | 65 | - |
dc.citation.title | 정부학연구 | - |
dc.citation.volume | 25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정부학연구, Vol.25 No.3, pp.65-107 | - |
dc.identifier.doi | 10.19067/jgs.2019.25.3.65 | - |
dc.subject.keyword | state and happiness | - |
dc.subject.keyword | inequality | - |
dc.subject.keyword | role of government | - |
dc.subject.keyword | 국가와 행복 | - |
dc.subject.keyword | 불평등 | - |
dc.subject.keyword | 정부역할 | - |
dc.type.other | Article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