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김소영 | - |
dc.contributor.author | 박미화 | - |
dc.date.issued | 2018-06 | - |
dc.identifier.issn | 2288-4270 | - |
dc.identifier.uri | https://aurora.ajou.ac.kr/handle/2018.oak/34894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중학생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공감능력, 학교적응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중소도시의 3개 중학교 1~3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566부의 설문지를 통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자녀 간 개방형 의사소통은 공감능력과 학교적응에서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부모-자녀 간 문제형 의사소통은 공감능력과 학교적응에서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공감능력과학교적응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은 부분매개 하였다. 즉 개방형 의사소통은 공감능력을 높이고 학교적응을 높이는 반면, 문제형 의사소통은 공감능력을 낮추며 학교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부모와 자녀의 긍정적인 의사소통과 공감능력은 청소년기의 원만한 학교적응에 중요한 역할을 함이 확인되었다.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한국발달지원학회 | - |
dc.title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학교적응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 |
dc.title.alternative |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ic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School Adjustmen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 - |
dc.type | Article | - |
dc.citation.endPage | 50 | - |
dc.citation.number | 1 | - |
dc.citation.startPage | 35 | - |
dc.citation.title | 발달지원연구 | - |
dc.citation.volume | 7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발달지원연구, Vol.7 No.1, pp.35-50 | - |
dc.identifier.doi | 10.22839/adp.2018.7.1.35 | - |
dc.subject.keyword |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 - |
dc.subject.keyword | 학교적응 | - |
dc.subject.keyword | 공감능력 | - |
dc.subject.keyword | parnet-child communication | - |
dc.subject.keyword | school adjustment | - |
dc.subject.keyword | ampathic ability | - |
dc.type.other | Article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