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ou University repository

음악치료사의 전문 역량요소 탐색
Citations

SCOPUS

0

Citation Export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은혜-
dc.contributor.author박미화-
dc.date.issued2018-03-
dc.identifier.issn2287-2906-
dc.identifier.urihttps://aurora.ajou.ac.kr/handle/2018.oak/34764-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국내․외 관련문헌을 분석하여 국내 음악치료사의 전문 역량요소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Spencer & Spencer(1993)의 역량모형에 근거하여 미국음악치료협회(AMTA)의 전문 역량, 미국 직업정보네트워크(O*NET)에서 제시한 음악치료사 역량, 국내 음악치료사 직무 및 역량에 관한 선행 연구와 국내 5개 음악치료 대학원의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1차 전문 역량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내용을 전문가집단이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최종 3개 역량군(이론기반 역량군, 직무수행 역량군, 개인적 역량군), 14개 역량요소(치료의 도구인 음악에 대한 이해, 치료의 원리·과정에 대한 이해, 음악치료에 대한 이해, 치료 대상자에 대한 이해, 사정 및 치료목적·목표 설정능력, 치료 계획 및 적용능력, 치료 평가 능력, 문서화 능력, 의사소통 능력, 학제간 협력 능력, 행정업무 능력, 전문가적 책임 및 윤리의식, 성찰 및 자기개발, 태도 및 자아개념), 48개 세부역량요소를 도출하였다.-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사)한국직업자격학회-
dc.title음악치료사의 전문 역량요소 탐색-
dc.title.alternativeAn Inquiry of Music Therapy Professional Competency Standards-
dc.typeArticle-
dc.citation.endPage148-
dc.citation.number1-
dc.citation.startPage119-
dc.citation.title직업과 자격 연구-
dc.citation.volume7-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직업과 자격 연구, Vol.7 No.1, pp.119-148-
dc.subject.keyword음악치료사-
dc.subject.keyword전문 역량-
dc.subject.keywordMusic Therapist-
dc.subject.keywordProfessional Competency-
dc.type.otherArticle-
Show simple item recor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Park, Mi Hwa Image
Park, Mi Hwa박미화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ad More

Total Views & Downloads

File Download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