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2 Plasma을 이용한 ALD SEAM 제어 식각 방법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오일권 | - |
dc.contributor.author | 최호진 | - |
dc.date.accessioned | 2025-01-25T01:36:10Z | - |
dc.date.available | 2025-01-25T01:36:10Z | - |
dc.date.issued | 2023-02 | - |
dc.identifier.other | 32648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24691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IT융합공학과,2023. 2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논문에서는 반도체 소자 중 Vertical NADN flash memory 제조 공정 중 Channel- hole의 일부분인 Etch back공정에서의 etching을 효율 개선을 하기 위해서 실험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br>Channel hole내부를 채우는 Oxide는 ALD(atomic layer deposition: ALD)증착 방법으로 만든다. Channel hole내부에 oxide막질 성장 시 사용하는 gas로 트리스-디멜틸아미-노 실란(TDMAS)사용하는데, 증착 후 wafer표면은 소수성 특정을 가지게 된다. 이런 소수성 특성으로 etching시 wafer표면 etching gas흡착하는데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 O2 Plasma를 이용하여 wafer표면을 소수성에서 친수성으로 변화하여 etching gas의 흡착을 증대 시켜 etch rate효율이 개선되는 것으로 예상하였으며, 개선 효과는 HDP(high-density plasma chemical vapor deposition: HDP)oxide와 ALD(atomic layer deposition: ALD)oxide를 이용하여 스펙트로 포토미터(spectro-photometer)로 측정하였으며. 그리고 실제 소자 제품으로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로 연구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른 gas를 사용하는 etching에서 널리 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br> 1.1 Vertical NAND Flash발전 과 SEAM 불량 1 <br>제 2 장. 이론적 배경 3 <br> 2.1 ALD oxide deposition 3 <br> 2.2 SEAM 생선 현상 4 <br> 2.3 Dry etching 5 <br> 2.4 RF Remote plasma 6 <br> 2.5 Si wafer surface특성 7 <br>제 3 장. 실험 방법 및 측정 방법 9 <br> 3.1 실험 방법 9 <br> 3.2 Etch rate 측정 방법 12 <br> 3.3 Pre-process조건 평가 13 <br> 3.4 ALD oxide 표면 분석 16 <br> 3.5 ALD oxide 표면 변화 분석 21 <br>제 4 장. 제품 평가 24 <br> 4.1 검증 방법 24 <br> 4.2 제품 적용 결과 25 <br>제 5 장. 결 론 33 <br>참 고 문 헌 34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O2 Plasma을 이용한 ALD SEAM 제어 식각 방법 | - |
dc.title.alternative | ALD SEAM Using O2 Plasma Control Etching Method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대학원 | - |
dc.contributor.department | IT융합대학원 IT융합공학과 | - |
dc.date.awarded | 2023-02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T000000032648 | - |
dc.identifier.url | https://dcoll.ajou.ac.kr/dcollection/common/orgView/000000032648 | - |
dc.subject.keyword | ALD SEAM | - |
dc.subject.keyword | O2 Plasma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