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ou University repository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요인
  • 신기정
Citations

SCOPUS

0

Citation Export

Advisor
이은현
Affiliation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Department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Publication Year
2009-07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Keyword
경동맥 내중막 두께농촌 노인동맥 경화혈압중성지방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2009. 7
Abstract
본 연구는 농촌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 일반 노인들을 대상으로 경동맥 초음파 검사를 하여 경동맥 내중막 두께와 관련된 요인들을 알아보는 서술적 관계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08년 10월 1일부터 동년 10월 5일까지 검진에 응한 308명의 노인을 임의 표본 추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3.0을 이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 중 남자 노인이 118명(38.1%), 여자 노인이 190명(61.9%)으로 여자 노인 인구가 많았다. 나이별로는 60대 노인이 44명(14.1%), 70대 노인이 185명(59.1%), 80대가 76명(24.7%), 90대 노인이 4명(1.3%)으로 70, 80대 노인 수가 많았다. (2)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에 따른 변수들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χ2-test로 분석하였다. 성별(χ2=8.795, p=.003), 연령(χ2=9.754, p=.002), 이완기 혈압(χ2=3.190, p=.048), 중성지방(χ2=10.151, p=.001)에서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3)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는 성별(OR=2.135, p<.004), 연령(OR=1.677, p<.008)이 농촌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예측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농촌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와 관련된 요인은 연령, 성별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선행 연구와 달리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일반 농촌 노인을 대상으로 경동맥 내중막 두께를 연구하였다는 것이다. 일반 농촌 노인들에게 경동맥 내중막 두께를 이용한 동맥 경화의 선별검사는 중증으로 진행될 수 있는 혈관 질환의 예방적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7501
Fulltext

Type
Thesis
Show full item recor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Total Views & Downloads

File Download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