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ou University repository

지방우세 딕슨기법을 이용한 슬관절 자기공명영상 지방 신호분율과 골밀도간의 상관관계분석
  • 안성현
Citations

SCOPUS

0

Citation Export

Advisor
곽규성
Affiliation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의학과
Publication Year
2022-08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Keyword
Bone mineral Keywords: KneeBone mineral densityDIXONFat dominant tissueKneeMRIOsteoporosis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과,2022. 8
Abstract
목적: MRI DIXON기법을 이용하여 슬관절 지방우세 골조직의 지방신호분율(FF)을 구하고 골밀도(BMD)와 상관관계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과 방법: 본원 슬관절 DIXON영상을 촬영한 환자들중 일년이내의 DXA가 있는 환자 93명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DIXON영상에서 원위부 대퇴골 골간단(Fm)과 근위부 경골 골간단(Tm)의 FF를 계산하였다. FF와 BMD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 요추(L), 대퇴경부(FN), 총대퇴골(FT)의 BMD별로 나누고 FF에 대하여 kruskal-wallis H test를 시행하였다. 결과: 전체환자군에서 TmFF와 FN-BMD사이에 유의미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26, p<0.05). 여성환자에서는 TmFF가 FN-BMD , FT-BMD 및 L-BMD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38, -0.28 and -0.27, p<0.05). 남성환자에서는 FmFF가 FN-BMD 및 FT-BMD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58 and r=-0.42, p<0.05). 여성환자들을 세 군으로 나누었을때 TmFF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남성환자들을 두 군으로 나누었을때, FmFF이 군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05). 결론: 슬관절 주변의 FF와 BMD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DIXON을 이용한 FF측정이 BMD 스크리닝에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Language
kor
URI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20971
Fulltext

Type
Thesis
Show full item recor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Total Views & Downloads

File Download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