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ou University repository

Dynamic Contour Tonometry와 안혈류분석계의 안구박동 크기 비교
  • 김용현
Citations

SCOPUS

0

Citation Export

Advisor
안재홍
Affiliation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의학과
Publication Year
2022-02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Keyword
녹내장성 시신경 병증안압안혈류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과,2022. 2
Abstract
Dynamic contour tonometry (DCT) 와 안구 혈류 분석계(BFA)를 이용해 측정한 안구 박동 크기를 비교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후향적 단면 연구로, 총 35안의 검사결과를 비교하였다. 안구 박동 크기(OPA)는 Dynamic contour tonometry (DCT) 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박동 크기(pulse amplitude, PA) 및 박동 안구 혈류(pulsatile ocular blood flow, POBF)는 안구 혈류 분석계(BFA)를 통해 측정하였다. DCT를 이용해 측정한 OPA(2.69 ± 0.98 mmHg)는 BFA를 이용해 측정한 PA(2.99 ± 1.06 mmHg)에 비하여 낮게 측정되었다(p < 0.001). OPA 와 PA 사이의 Mean difference ± Limit of agreement (LOA)는 -0.31 ± 1.42mmHg 였다. OPA는 안압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PA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PA와 OPA는 굴절 이상의 구면렌즈 대응치와 중심 각막 두께와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OPA와 PA는 같은 안과적 현상을 나타내는 값이나, 두 측정값은 서로 일치 하지 않으며, 각각의 값과 안압과의 관계 역시 서로 달랐다.
Language
kor
URI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20797
Fulltext

Type
Thesis
Show full item recor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Total Views & Downloads

File Download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