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ou University repository

대사공학적으로 개량된 대장균을 이용한 메발로네이트 생산 강화성분 분석
  • 정진호
Citations

SCOPUS

0

Citation Export

Advisor
이평천
Affiliation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분자과학기술학과
Publication Year
2018-08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Keyword
mevalonate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분자과학기술학과,2018. 8
Abstract
Mevalonate는 IPP의 전구체로서 isoprenoids의 중간생산물질이다. 요즘은 화장품의 원료나 고분자의 monomer로 사용범위가 늘고있어 대량생산이 중요하게 부각되고있다. Mevalonate를 생산하기 위해 mevalonate를 생산 할 수 있도록 genetic engineering된 e.coli를 사용했다. genetic engineering은 Plasmid system보다 안정성이 더 높지만 copy수가 낮아 mevalonate생산량이 줄어드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위해 배지 최적화를 통해 생산량을 늘리려고 한다. 배지최적화의 factor를 선정하기 위해 published papers를 참고하여 3.7g/L의 mevalonate를 생산하는 recombinant media를 조합한다. 이 recombinant media의 조성 10가지에서 영향력이 큰 factor를 screening하기 위해 placket-burman design을 이용하여 영향력 있는 factor (NH4) 2SO4, Tween80, Ferric ammonium citrate 3가지를 선정했다. 이 factor간의 interaction을 알아보기 위해 central composite design(CCD)를 이용하여 각 factor간의 interaction을 확인했고 이를 3D-response surface plot를 이용하여 factor 최적화를 진행했고 (NH4) 2SO4 6.9g/L, Tween 80 2.52g/L, Ferric ammonium citrate 0.077g/L일 때 5.27g/L mevalonate를 생산하였다.
Language
kor
URI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9466
Fulltext

Type
Thesis
Show full item recor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Total Views & Downloads

File Download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