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ou University repository

Jurkat T 세포와 HMC-1 세포에서 TIM-3 발현 조절 기전
  • 윤수진
Citations

SCOPUS

0

Citation Export

Affiliation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의생명과학과
Publication Year
2011-02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Keyword
TIM-3promoterSMADMEK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의생명학과,2011. 2
Abstract
T cell/transmembrane, immunoglobulin, and mucin domain-3(TIM-3)는 TIM family에 속하는 분자로 마우스 Th1 세포에 특이적인 세포 막 단백질로 처음 발견되었다. 이 분자는 T 세포와 비만세포 이외에도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등 면역에 관여하는 다양한 세포에서도 발현된다고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TIM-3가 면역 반응에서 중요한 기능을 한다는 보고가 많이 되고 있는 반면 TIM-3 발현 조절 기작에 대해서는 많이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T 세포주와 비만 세포주에서 TIM-3의 발현 조절 기작을 밝히기 위해 다양한 inhibitor들을 사용한 결과 Jurkat T 세포와 인간 CD4+ T 세포에서는 MEK 경로, HMC-1 세포에서는 MEK 경로와 SMAD 의존적 경로가 TIM-3 발현에 중요하게 작용함을 밝혔다. 또한 T 세포에서 TIM-3 발현 조절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promoter 부분을 찾기 위해 다양한 길이의 TIM-3 promoter를 포함하는 luciferase reporter vector를 제작하여 luciferase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TIM-3 promoter -892/-870과 -144/-121 부분이 자극에 의한 TIM-3 발현 조절에 중요함을 밝혔다. 또한 전사 인자인 AP-1과 NF-κB가 TIM-3 발현 조절에 관여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면역 반응에서 중요하게 작용하는 TIM-3의 발현 조절 신호 전달 경로와 promoter 부분을 밝힘으로써 TIM-3 발현 조절 기작을 이해하는데 기초를 제공할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7837
Fulltext

Type
Thesis
Show full item recor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Total Views & Downloads

File Download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